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95

파워포인트 ppt 도형, 이미지 정렬 하기 파워포인트에서 도형이나 이미지를 정렬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도형이나 이미지를 눈금자 등을 사용해서 하나하나 맞추는 대신 상단 메뉴 '서식' 이나 '도형 서식'의 '정렬' 메뉴를 이용하면 편리하게 일괄 정렬이 가능하다. 아래 예시와 같이 도형들이 있을 경우 정렬하고 싶은 도형(item#1~4)들을 선택한다. 상단 메뉴의 '도형 서식'이 자동 선택되고, '정렬 > 맞춤'을 클릭한 후 오른쪽 메뉴에서 원하는 맞춤 방식을 선택하면 일괄 정렬이 된다. 왼쪽 맞춤, 가운데 맞춤, 오른쪽 맞춤, 위쪽 맞춤 등 하나씩 클릭하면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하나씩 살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2024. 4. 9.
파워포인트 ppt 표 행 높이, 열 너비 같게 맞추기 파워포인트 표에서 행과 열의 너비를 동일하게 같게 맞추는 방법을 알아본다 행 높이 맞추기 아래와 같이 ppt 표의 행 높이가 다르게 되어 있을 경우 먼저 높이를 동일하게 맞출 영역(카테고리 2,3,4)을 선택한다. 영역을 선택하게 되면 상단 메뉴에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선택되게 되고, 그 하단에 '행 높이 같게'를 클릭 해준다. 적용 결과는 아래와 같다 열 너비 맞추기 열 너비는 아래 ppt 표의 열 너비가 다르게 되어 있을 경우(열1, 열2), 너비를 동일하게 맞출 영역을 선택한다. 영역을 선택하게 되면 상단 메뉴에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선택되게 되고, 그 하단에 '열 너비 같게'를 클릭 해준다. 적용 결과는 아래와 같다 2024. 4. 8.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 분산 클라우드 개념 클라우드 배포 모델 중 큰 개념인 3가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멀티 클라우드, 그리고 분산 클라우드에 대한 개념을 알아본다. 하이브리드(Hybrid)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서로 다른 클라우드 배포 모델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형태를 말하는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Private 클라우드 환경과 Public 클라우드 환경을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함께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아래 그림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이용 형태의 종류이다. 주로 업무상 또는 목적에 따라서 클라우드를 구분해서 사용하거나, 장애 대응 및 가용성 확보를 위해 Public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멀티(Multi)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는 여러 회사가 제공하는 Public 클라우드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다. 아래는 멀티 클라우드 .. 2024. 4. 6.
MacOS - jEnv로 java 버전 쉽게 관리하기 MacOS에서 java 버전을 쉽게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jEnv라는 것을 통해 java 버전을 관리하면 더이상 JAVA_HOME을 관리해야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brew를 통해서 jenv를 설치한다. brew install jenv 아래와 같이 환경변수 PATH를 설정한다. # bash를 사용할 경우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 $ echo 'export PATH="$HOME/.jenv/bin:$PATH"' >> ~/.bash_profile $ echo 'eval "$(jenv init -)"' >> ~/.bash_profile # Zsh를 사용할 경우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 $ echo 'export PATH="$HOME/.jenv/bin:$PATH"' >> ~/.zshrc $ ech.. 2024. 4. 1.
[독서] 스태그플레이션 2024년 경제전망 - 김광석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어렵다고 전망이 많은 2024년 경제가 왜, 어떻게 어려운지, 그렇지만 기회는 없는지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책에서는 20개의 경제 트랜드를 세계적인 관점, 국내 관점, 그리고 산업&기술에 대한 관점으로 얘기를 해주고 있다. 세계, 국내에서 여러가지 상황으로 어려움이 많지만 산업&기술 부분에서는 국가,개인 관점에서 오히려 기회가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위기는 또 다른 말로 기회라고 얘기했고, 주어진 상황에 대해 어떻게 해석하고 반응하는지에 따라 결과는 달라진다고 했다. 어렵지만 긍정적으로 상황을 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그동안 내가 모르고 있거나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어디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확인 할 수 있었다. “경제를 모르고 .. 2024. 3. 26.
bad CPU type in executable: kubectl - Mac Rancher Desktop Mac Apple Silicon 칩을 사용하는 환경에 Rancher Desktop을 설치하고 kubectl 명령을 테스트 하는 중에 에러가 발생했다 bad CPU type in executable: kubectl 역시 짐작한데로 Intel 칩이 아닌 Apple Silicon에 따른 환경 문제였다. 해결은 다음과 같이 해결했다 먼저 Rancher에서 kubectl 명령어가 어디에서 실행되는지 확인한다. 명령어 위치는 /Users/[사용자]/.rd/bin/ 디렉토리에 명령어가 있었다. which kubectl 해당 명령어를 삭제한다. rm -f /Users/[사용자]/.rd/bin/ 다음에 접속하여 kubectl을 다운로드 받는다. 당연히 Apple Silicon을 선택한다. https://kubernete.. 2024. 3. 26.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 이해 및 비교 반도체는 전기가 잘 통하는 도체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의 중간 성질을 갖는 물질이다. 반도체는 원래 전기가 거의 통하지 않지만 필요시 빛, 열, 불순물 등을 가하여 전기를 통하게 함으로써 전기 신호를 제어하거나 증폭시키는 전자부품으로 요즘 거의 모든 전자제품에 활용되고 있다.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와 비메모리 반도체로 구분이 되고, 비메모리 반도체의 대표적인 것이 시스템 반도체이다. 메모리 반도체는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이되고, 표준 제품의 대량 생산에 필요한 생산기술이 경쟁력의 핵심이 된다. 공급측 요인이 수급 불균형으로 연결되는 특징이다. 비메모리 반도체는 정보처리를 목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시스템 반도체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주로 논리와 연산,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 2024. 3. 25.
Vue.js Pinia 사용법 Vue에서 상태관리 시 많이 활용되고 있는 pinia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Vue에서 보통 상태관리에 Vuex가 많이 언급되지만 Pinia의 여러가지 특징으로 많이 활용이 되고 있다. Pinia 특징 Pinia의 특징으로 많이 언급되는 것들은 아래와 같다. 1. 가볍고 직관적인 API - Vuex보다 더 가벼우며, 직관적인 API를 제공. - Vue.js 3의 Composition API와 함께 사용되어, 개발자가 상태 관리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 2. TypeScript와의 호환성 - Vuex는 별도의 라이브러리(vuex-module-decorators) 필요 3. 컴포넌트 별 상태 관리 - 전역 상태 뿐만 아니라, 개별 컴포넌트에서만 필요한 로컬 상태도 관리 4. 성능 최적화 - Vue.. 2024. 3.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