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ntelliJ19

IntelliJ Docker 빌드&실행 환경(Dockerfile) 매번 커맨드로 Docker 커맨드를 실행하는 것이 번거로운 경우 IntelliJ에서 Docker 실행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Dockerfile, Docker-Image, Docker-Compose를 활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Dockerfile 기준으로 실행 환경 구성을 해본다. 먼저 Dockerfile이 포함된 프로젝트를 열고, Run/Debug Configurations를 실행한다. 그리고 좌측에서 Add New Configuration(+)를 선택하고 Docker > Dockerfile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Docker build, run 시에 사용하는 이름, 옵션 등을 화면에서 입력 한다. 기본적인 옵션 외에도 'Build'영역의 Modify options나 'Run'영역의 Modify를 클.. 2022. 9. 5.
IntelliJ JSP Dynamic Web Project 생성 IntelliJ에서 jsp만으로 이루어진 Dynamic Web Project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정리이다. 정말 java소스 하나없이 jsp만으로 이루어지고, Maven or Gradle 같은 빌드 툴도 없는 순수 jsp만으로 이루어진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하고 톰캣으로 실행 해본다. 이걸 정리하는게 의미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처음해보는 거라 작성해본다. 프로제트 생성 아무것도 세팅을 하지 않기 위해 New Project에서 Empty Project로 생성을 한다. 다른 것들은 여러 툴들이 자동으로 엮여있어서 내가 원하는 구조가 안나왔다. 이제 빈 프로젝트에서 아래와 같이 webapps/WEB-INF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그리고 webapps 하위에는 테스트용 index.jsp파일을 하나 만들고.. 2022. 8. 4.
IntelliJ java class serialVersionUID 자동 생성 IntelliJ에서는 STS(Elipcse)처럼 java class에 implements Serializable를 선언하고 class에 마우스를 가져다 놓으면 serialVersionUID를 자동 생성하는 메뉴가 기본적으로 뜨지 않는다. serialVersionUID 자동 생성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설정이 필요했다. 1. 먼저 IntelliJ의 Prefereneces.. 메뉴를 클릭한다. 2. Preferences 좌측 항목에서 Editor > Inspecions 를 클릭한다. 3. 다음으로 우측에 Java > Serialization issues > Serializable class without 'serialVerionUID' 항목를 체크해 준다. 4. STS(Eclipse)에와 동일하게 마우스를 .. 2022. 5. 28.
IntelliJ Gradle 빌드 디렉토리(out, build) 설정 IntelliJ에서 gradle 프로젝트로 개발을 할 때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프로젝트 구조는 아래와 같이 멀티 모듈 구조이고, Libaray모듈이 Application 모듈에 의존성(Library -> Application)으로 설정되어 Application모듈을 실행하는 구조였다. 프로젝트 구조 - parent - Library - Application Library모듈은 src/main/java 외에 src/main/resources도 포함되어 있어서 Application 모듈을 실행했을 때 모두 classpath로 참조가 가능해야하는 구조였다. 하지만 Application을 실행했을때 Application에서 Library모듈의 resources 파일들을 참조할 수 없는 에러가 발생했다. Ap.. 2022. 5. 6.
IntelliJ properties 파일 한글 설정 IntelliJ에서 메시지 등 설정을 위해 properties 파일을 사용할 때 한글이 깨져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는 properties파일은 기본적으로 ISO 8859-1 인코딩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그렇다고 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properties를 선언하고 한글을 입력할 경우 다음과 같은 나오는 경우이다. sample 메시지 한글 깨져 보임. IntelliJ Preferences 창에서 설정으로 한글깨짐 해결이 가능하다. Preferences > Editor > File Encodings > Properties Files 항목 에서 Default encoding for properties files을 UTF-8로 변경하고 우측의 Transparent vative-to-ascii co.. 2022. 5. 6.
IntelliJ Maven profile 선택 및 실행 Maven pom.xml에서 상황에 따라 profile을 선언해서 사용하는데 intelliJ에서 쉽게 profile을 선택하고 실행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pom.xml에 profile이 선언되어 있을 경우 IntelliJ [Maven Tool Windows]에서 profile을 선택하면 되는데, IntelliJ오른쪽에 Maven Tool Windows가 없으면 아래와 같이 실행해 준다.(View > Tool Windows > Maven) Maven Tool Windows를 열어보면 제일 상단에 Profiles라는 항목이 보이고 여기서 선택 후 빌드, 실행하면 된다 2022. 3. 21.
IntelliJ 검색 필터링 IntelliJ에서 검색 시 Cmd+Shift+F 로 주로 검색으르 하는데 검색 시 원하지 않은 파일들의 결과가 많이 나올때가 있다. 이럴때는 검색창 우측 상단의 "File mask"로 필터링을 하면 빠르게 원하는 검색을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검색창은 아래와 같이 File mask는 비활성화 되어 있다 아래와 같이 File mask를 체크하고, "*.jsp"를 입력하면 jsp 파일만 대상으로 검색을 한다 특정 파일들을 제외 하고 싶은 경우는 앞에 "!" 를 붙여 "!*.jsp" 와 같이 사용한다(jsp파일은 검색에서 제외) 여러개를 사용할 경우 콤마(,)로 구분하여 "*.jsp,*.java" 같이 사용한다(검색에 jsp,java 파일만 포함) File mask와 상관없이 검색 대상에서 계속 제외하고 .. 2022. 2. 22.
IntelliJ Eclipse SpringBoot 프로젝트 Import Eclipse(STS)에서 실행하던 SpringBoot 기반 프로젝트를 IntelliJ로 import하는 방법 - IntelliJ Project 하나를 Empty Project로 생성한다. 단일 프로젝트일 경우 필요없지만 Eclipse workspace에 여러 프로젝트들이 있어서 먼저 Empty Project를 생성 - 프로젝트명은 'Test'로 하고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확인 - "Module from Existing Sources..." 메뉴를 선택하고 Eclipse workspace에서 import할 하나의 프로젝트를 선택한다 - Eclipse를 선택하고 Next - 경로정도만 확인만하고 나머지는 디폴트로 두고 Next -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Next - 그냥 Next - 사용할 JDK를 선택하고 .. 2022. 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