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용어27 순부채와 순차입금이란? 순부채(Net Debt)와 순차입금(Net Borrowings)은 기업의 재무 상태를 분석할 때 자주 등장하는 지표로, 둘 다 기업이 실질적으로 부담하고 있는 "순수한 빚"이 얼마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개념이다. 표현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개념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특히 재무건전성, 투자여력, 기업가치평가(DCF) 등에 핵심적으로 활용된다.순부채(Net Debt)기업이 보유한 ‘현금성 자산’을 제외하고, 실제 갚아야 하는 부채만 남긴 금액으로 기업이 당장 모든 현금을 빚 갚는 데 쓴다면, 얼마의 순부채가 남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순부채 = 총차입금(이자부부채) – 현금 및 현금성 자산예시)- 총차입금: 1,000억 원- 현금 및 현금성자산: 400억 원- 순부채 = 600억 원 순차입금(Net B.. 2025. 5. 8. 주식시장에서 FOMO(포모)란? 주식 시장에서 자주 회자되는 FOMO(Fear of Missing Out)는 단순한 감정 용어가 아니라, 투자자의 비이성적 판단을 유발하고 시장 거품을 형성하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 중 하나이다. 이 개념은 특히 상승장이 과열될 때 자주 등장하며, 투자 판단의 질을 저해하는 ‘감정 트리거’ 역할을 하기도 한다. FOMO(Fear Of Missing Out)를 직역하면 "놓칠까 봐 두려움"을 의미하며, 주식 시장에서는 "다들 벌고 있는데 나만 못 벌면 어쩌지?" 라는 심리에서 비롯된 추격 매수나 과도한 투자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FOMO는 정보가 빠르게 퍼지고, 주변의 투자 성공 사례가 넘쳐나는 SNS 시대의 대표적인 투자 심리 현상으로 떠올랐고, 특히 개인 투자자(개미)들이 빠르게 주도주에 뛰어드는 흐.. 2025. 5. 7. 첨단제조세액공제(AMPC)란? 첨단제조세액공제(AMPC: 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는 미국이 반도체·배터리·태양광 등 핵심 첨단 제조업을 자국 내에 유치하기 위해 만든 강력한 세제 혜택 정책이다. 특히 한국 기업(삼성, SK, LG 등)에게도 매우 중요한 제도라도 볼 수 있는데, 미국 내에서 첨단 제조품을 생산할 경우, 생산한 ‘물량 자체’에 대해 세액을 환급해주는 인센티브 제도라고 보면 된다. 도입 배경1. 중국과 기술 패권 경쟁: 반도체, 배터리, 태양광 등 미래산업이 국가 안보와 직결됨2. 공급망 리쇼어링 전략: 미국은 자국 내 제조기반이 약해져서 공장·투자 유치 필요3. 친환경 에너지 확대: 배터리·태양광 등 청정에너지 생산을 보조금으로 장려 주요 적용 대상 제품1. 반도체: 고.. 2025. 4. 28.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시장이란?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는 최근 외교, 경제, 지정학 이슈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로써 단순히 지리적인 남쪽 나라들이 아니라, 신흥국 중심의 새로운 국제 질서와 전통 서방 중심 체제에 대한 도전세력을 의미하기도 한다. 간단히 얘기해서 서방 선진국(G7 등)에 속하지 않는, 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 중심의 신흥·개도국 연합 또는 그룹이라고 얘기할 수 있다. 글로벌 사우스 기원과 의미 변화1. 1950~60년대: 냉전 시기 “제3세계(Third World)”로 불리던 비동맹·비서방 국가들2.2000년대 이후: 경제 성장 중이면서도 선진국에 도전하는 신흥 세력3.2020년대 이후: G7, 미국 중심 질서에 균형을 요구하는 정치·경제 블록 개념으로 확장 글로벌사우스에 속하는 대표 국가들글로벌사우스에 .. 2025. 4. 28. R의공포란? 요즘 뉴스나 경제기사에서 자주 나오는 "R의 공포"는 경제가 나빠질 때 나타나는 특정한 공포심을 표현한 말이다. 여기서 R은 바로 Recession(리세션), 즉 경기침체를 뜻한다. 이 말은 투자자·소비자·기업들이 "이러다 경기 꺾이는 거 아니야?", "앞으로 소비 줄고, 실업 늘고, 자산 가치 떨어질지도 몰라…" 하는 심리적 공포를 의미한다.R = Recession(경기침체)-> 경제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서고, 소비·고용·투자 모두 줄어드는 상태R의 공포(R의 공포, Fear of Recession)란 경기침체가 닥쳐올 수 있다는 불안감이 경제 전반에 퍼지는 현상이다. R의 공포가 실제 경제에 미치는 영향심리는 실제 행동으로 이어진다.경제 주체행동 변화소비자“불안하니 지출 줄여야지” → 소비 감소기.. 2025. 4. 24. 상법개정안이란? 2025년 3월 1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상법 개정안은 상장회사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주주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상법 개정안 주요 내용1.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 확대기존: 이사는 ‘회사’를 위해 직무를 충실히 수행해야 함.개정: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에 ‘주주’를 추가하여, 이사가 직무를 수행할 때 회사뿐만 아니라 주주의 이익도 고려하도록 함. 2. 전자주주총회 제도 도입 및 의무화상장회사는 주주총회를 전자적 방법으로 개최할 수 있으며, 일정 규모 이상의 상장회사는 전자주주총회 병행 개최를 의무화함. 3. 횡령·배임 혐의 대주주의 의결권 제한상장회사의 대주주가 횡령이나 배임 등의 범죄로 기소된 경우, 일정 비율을 초과하는 주식에 대한 의결권 행사가 제한됨. 4. 주주.. 2025. 4. 23. HBM(고대역폭 메모리)는 무엇일까? 요즘 AI 반도체, GPU, 챗GPT 서버 같은 데서 자주 언급되는 핵심 부품이 바로 HBM (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 메모리)이다. HBM은 데이터를 훨씬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게 만든 초고속 메모리로써 마치 일반 도로 대신 고속도로를 깔아주는 느낌이라고 할 수 있다. 대역폭(Bandwidth)이란?CPU나 GPU가 메모리에서 얼마나 빠르고 많이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지 나타내는 단위로써 ‘1초당 정보 이동량’, 즉 데이터 통로의 넓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비유를 들자면 아래와 같다.- DDR5 메모리: 일반 차선 4개 도로 - HBM : 고속도로 차선 64개 + 톨게이트 없음 기존 메모리 vs HBM 비교항목 DDR5 (일반 메모리)HBM (고대역폭 메모리)배치 방식메모리 슬.. 2025. 4. 22.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워크아웃, 자율적 구조조정 계획(ARS) 알아보기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워크아웃, 자율적 구조조정계획(ARS)은 모두 재무적으로 위기에 빠진 기업을 살리기 위한 제도로써 기업을 살려서 부도와 파산을 막고 채권자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이 되나 법적 강제력·주체·절차 등은 서로 다르다. 이 3가지에 대해서 각각 알아본다. 1. 법정관리 (기업회생절차, Corporate Rehabilitation)법원이 주도하는 강제적 구조조정 절차로 재무 위기에 처한 기업이 법원에 회생 절차를 신청하면, 법원이 회사를 관리하면서 채권·채무를 조정하고 사업을 살리기 위한 회생계획을 수립하는 제도이다. 쉽게 얘기하면 회사가 법정에 직접 가서 판사의 관리 하에 치료를 받는 것이다. 법정관리 특징법정관리의 특징으로는 아래와 같은 내용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2025. 4. 20.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