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개발/MAC12

MAC 메모 Touch ID(지문 암호풀기) 사용하기 MAC 메모에서 암호 설정을 통해서 메모를 잠글 수 있다. MAC 메모에서 Touch ID 기능을 사용해서 지문으로 잠긴 메모의 암호를 푸는 방법을 알아본다. MAC 키보드에 Touch ID 기능이 있더라도 메모 앱에서 기본 세팅이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도록 되어 있는데 메모의 설정을 통해서 Touch ID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메모 앱을 실행시키고 상단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한다.  설정의 제일 하단을 보면 Touch ID 사용이 체크가 되어 있는지 확인 후 체크를 해주면 된다.  이제 메모 실행 시 매번 암호를 입력할 필요없이 지문으로 간단하게 메모를 확인할 수 있다. 2024. 5. 11.
MAC 터미널 Amazon Q(구 AWS Codewhisperer)사용해보기 그동안 MAC에서 Fig를 설치해서 자동완성 등을 활용해 터미널을 조금 편하게 사용해왔다. 하지만 이제 Fig 사이트에 접속을 하면 아래와 같이 Amazon Codewhisperer에 흡수됐다고 나온다. 이제는 Codewhisperer가 Amazon Q로 변경이 됐다.  Amazon Q(구 Amazon Codewhisperer)를 한번 설치해본다. Codewhisperer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코드를 자동 완성 시켜주는 copilot과 같은 개념의 툴이다. 예를들어, vscode, IntelliJ,, AWS Cloud9 등에 플러그인으로 설치해서 사용하면 프로그래밍 코드를 자동으로 작성해줘서 개발이 편해진다. 프로그래밍 코드 자동완성 외에 Codewhisperer는 Mac OS에 한해서 터미널에서 자동완성.. 2024. 4. 24.
MacOS - jEnv로 java 버전 쉽게 관리하기 MacOS에서 java 버전을 쉽게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jEnv라는 것을 통해 java 버전을 관리하면 더이상 JAVA_HOME을 관리해야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brew를 통해서 jenv를 설치한다. brew install jenv 아래와 같이 환경변수 PATH를 설정한다. # bash를 사용할 경우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 $ echo 'export PATH="$HOME/.jenv/bin:$PATH"' >> ~/.bash_profile $ echo 'eval "$(jenv init -)"' >> ~/.bash_profile # Zsh를 사용할 경우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 $ echo 'export PATH="$HOME/.jenv/bin:$PATH"' >> ~/.zshrc $ ech.. 2024. 4. 1.
MAC tree 명령어 사용 tree명령은 디렉토리 및 파일 구조를 확인할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이고, 한 눈에 디렉토리와 파일 을 트리형태로 파악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그러나 mac에서는 기본적으로 tree명령을 사용하지 못한다. mac에서 tree명령을 치면 command not found가 뜬다. mac에서 tree명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Homebrew를 통해서 직접 설치를 해줘야 한다. 단순히 터미널을 실행하고 아래 명령을 실행하면 된다. $ brew install tree 설치가 완료되면 tree를 사용해 이제 디렉토리 및 파일을 트리형태로 확인이 가능하다. tree에 대한 자세한 사용법은 구글링을 해보면 많이 나온다. 2023. 3. 11.
Mac Oracle SQLDeveloper 접속 에러(quoted string not properly terminated) MAC에서 Oracle 클라이언트 Tool로 SQL Developer를 사용하는 중에 갑자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뜨면서 모든 DB가 접속이 안되었다. status : failure -test failed: ora-00604: error occurred at recursive sql level 1 ora-01756: quoted string not properly terminated 최근에 OS를 업그레이드 해준것이 뭔가 영향을 미쳤는지 간단하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했다. 먼저 시스템 설정에서 언어 및 지역을 선택한다. 선호하는 언어가 한국어 - 기본으로 되어있고, 지역도 대한민국으로 되어있다. 이제 이 설정들을 아래와 같이 수정해준다. 선호하는 언어를 English를 상위로 올리고, 지역도 미국을 .. 2023. 3. 1.
mac Parallels 구독 갱신 Parallels를 사용하다가 구독을 갱신하는 시점이 되어 갱신을 할려고 하는데 라이센스키를 넣으라고 나왔다. 라이센스키가 전혀 기억이 나지 않고, 어디서 확인하는지 찾다가 아래의 방법으로 키를 찾고 갱신했다. https://my.parallels.com/home 으로 접속을 하고 로그인을 한다. 그리고 '내 Parallels 제품 보기'를 클릭한다. 다음으로 서브스크립션을 선택하고, 다음 화면에서 제목을 선택한다. 화면 하단에서 라이센스 키를 확인하고 복사해서 사용하면 된다. 2023. 2. 1.
Mac iTerm 터미널 prompt 간소화 - username hostname 제거 MAC에서 iTerm 터미널을 사용하다보면 프롬프트에 username, hostname이 길게 나와서 터미널 화면 너비를 좁게 써야할 경우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 user-name@My-MacBook$ 간단한 설정을 통해서 프롬프트를 간소화 시킬 수 있는 방법 아래와 같다. 먼저 iTerm를 실행하고 Preferences... 메뉴를 실행 시킨다. 그리고 상단의 Profiles 탭을 선택하고 우측의 Command 항목에 Send text at start 필드에 아래와 같이 "export PS1="\$ "; clear;"를 입력한다. 그리고 iTerm를 다시 실행하면 프롬프트가 심플한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2. 4. 29.
MAC Big Sur VirtualBox kernel driver not installed (rc=-1908) MAC Big Sur로 업데이트 한지 벌써 꽤된거 같다. 한동안 VirtualBox를 사용안하다가 간만에 가상환경 만들어서 테스트 해볼일이 생겼는데 갑자기 아래와 같은 에러와 함께 가상머선이 실행되지 않는다. 필요할 때 쓰려고 2개 만들어 놨었는데 2개 모두 같은 에러와 함께 실행이 안되서 당황했다. 에러 내용은 가상머신을 열 수 없다는 메시지와 함께 kernel driver not installed (rc=-1908)이라는 봐도 뭔지도 모르겠는 에러가 났다. 좀 찾아보니 [시스템 환경설정]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하단에 Oracle 허용을 해주면 된다고 하는데.. 내 PC의 설정에는 하단에 아무것도 없었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선택한 방법은 VirtualBox 사이트 들어가서 설치 파일을 다시 받.. 2022. 4.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