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레이드(NEXTRADE)는 2025년 3월 4일 출범한 대한민국 최초의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로, 기존 한국거래소(KRX)의 독점 체제에서 벗어나 주식 거래 시장에 경쟁을 도입한 새로운 플랫폼이다.
넥스트레이드의 주요 특징
1. 거래 시간 확대
- 프리마켓: 오전 8시 ~ 8시 50분
- 메인마켓: 오전 9시 ~ 오후 3시 20분 (KRX와 동일)
- 애프터마켓: 오후 3시 40분 ~ 오후 8시
하루 총 12시간의 주식 거래가 가능해져, 직장인 등 낮 시간에 거래가 어려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2. 낮은 거래 수수료
- 지정가 주문(Maker): 0.0013%
- 시장가 주문(Taker): 0.0018%
한국거래소의 수수료(0.0023%)보다 20~40% 저렴한 수준으로, 특히 단기 매매를 선호하는 투자자들에게 유리하다.
3. 다양한 주문 방식 도입
- 중간가 호가: 최우선 매수·매도 호가의 중간 가격으로 자동 조정
- 스톱지정가 호가: 특정 가격 도달 시 지정가 호가로 전환
새로운 주문 방식은 투자자들에게 더 세밀하고 유연한 매매 전략을 설계할 기회를 제공한다.
4. 거래 종목의 단계적 확대
- 출범 초기 10개 종목으로 시작하여, 5주 차에는 800개 종목으로 확대되었다.
5. 증권사 자동 주문 시스템(SOR) 도입
- 투자자는 별도의 시스템 설치 없이 기존 증권사 앱을 통해 거래할 수 있으며, SOR(Smart Order Routing) 시스템이 최적의 조건으로 주문을 자동 배분해준다.
KRX(한국거래소)와 NXT(넥스트레이드) 비교
한국 주식시장에서 기존의 거래소인 KRX(한국거래소)와 신규 대체거래소 NXT(넥스트레이드)는 기능상 유사하지만 구조·운영 방식·편의성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항목 | KRX (한국거래소) | NXT (넥스트레이드) |
정식 명칭 | 한국거래소 (Korea Exchange) | 넥스트레이드 (NEXTRADE) |
출범 연도 | 2005년 (통합 거래소 출범) | 2025년 3월 |
거래소 형태 | 유일한 공식 주식 거래소 | 대체거래소(ATS: Alternative Trading System) |
설립 목적 | 자본시장 중심 인프라 제공 | 기존 독점 체제의 경쟁 도입, 투자자 편의성 확대 |
운영 주체 | 공공기관 성격 (공공성과 독점적 지위) | 민간 합작 (삼성증권, NH투자증권 등 증권사 주도) |
거래 시스템 | 단일 체계 중심의 통합 시장 | 스마트 오더 라우팅(SOR) 기반, 증권사별 자동 주문 배분 |
거래 가능 증권사 | 전체 증권사 대상 | 일부 증권사(시범 도입 → 점차 확대 중) |
거래 플랫폼 | HTS, MTS, API 등 다양한 경로 | 기존 증권사 앱에서 통합 접근 (투자자 입장에서는 동일한 인터페이스) |
거래 시간 | 오전 9시 ~ 오후 3시 30분 (정규장) 오전 8시 30분 ~ 9시 (프리마켓) 오후 3시 40분 ~ 6시 (애프터마켓) |
오전 9시 ~ 오후 3시 20분(정규장) 오전 8시 ~ 8시 50분 (프리마켓) 오후 3시 40분 ~ 오후 8시 (애프터마켓) KRX 대비 약 2.5시간 더 길게 운영됨 |
거래 수수료 | 약 0.0023% 독점 기반, 변동 적음 |
지정가 주문(Maker): 0.0013% 시장가 주문(Taker): 0.0018% KRX 대비 최대 40% 저렴 |
상장 종목 수 | 2,600여 종목 | 800여 종목 (2025년 4월 기준, 점진적 확대) |
주문 방식 | 지정가, 시장가, 조건부 지정가 등 | 지정가, 시장가 외에도 중간가, 스톱지정가 등 혁신적 호가 방식 도입 |
유동성 | 풍부 (기관·외국인 주도) | 상대적 부족 (개인투자자 중심, 점차 개선 중) |
혁신성 | 안정적·보수적 | 투자자 친화적, 유연한 전략 설계 가능 |
점유율 | 약 90% 이상 (2025.3 기준) | 약 6~16% (5주 차 기준, 빠르게 상승 중) |
KRX는 안정성과 공공성을 기반으로 한 전통적 거래소로, 기관과 외국인의 참여가 활발하며 유동성이 풍부하고, NXT는 낮은 수수료, 긴 거래시간, 유연한 호가 방식으로 개인 투자자 중심의 신흥 거래소로 급부상 중이다.거래 점유율은 NXT가 빠르게 상승 중이며, 향후 공정한 경쟁과 혁신 유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거래 점유율 증가의 배경
1. 거래 시간의 유연성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의 운영으로 투자자들은 출퇴근 시간 등 다양한 시간대에 거래할 수 있어, 특히 직장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2. 경쟁력 있는 수수료 정책
낮은 거래 수수료는 단기 매매를 선호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작용하여 거래량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3. 다양한 주문 방식과 투자 전략의 유연성
새로운 호가 방식의 도입으로 투자자들은 보다 정교한 매매 전략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거래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
4. 거래 종목의 확대와 대형주의 포함
초기에는 제한된 종목만 거래 가능했으나, 점차 거래 종목이 확대되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형주가 포함되어 거래대금이 크게 증가하였다.
5.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반응
출범 첫 달, 넥스트레이드는 총 거래대금 25조 원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 점유율의 약 6%를 차지하였고, 특히 5주 차에는 일일 거래대금이 2조 원을 넘어서며 점유율이 16%에 달했다.
향후 과제와 전망
1. 유동성 확보: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안정적인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
2. 시장 투명성 유지: 거래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불공정 거래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
3. 시스템 안정성 강화: 거래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을 강화하여 투자자들의 신뢰를 확보 필요.
NXT(넥스트레이드)는 한국 주식 시장에 새로운 경쟁 체제를 도입하여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 거래 시간의 확대, 낮은 수수료, 다양한 주문 방식 등은 투자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으며, 향후 제도적 보완과 유동성 확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관련글:
증권사 자동 주문 시스템(SOR) 이란?
증권사 자동 주문 시스템인 SOR(Smart Order Routing)은 여러 거래소 또는 호가창 중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 또는 빠른 체결 가능성을 고려해 자동으로 주문을 배분하고 실행하는 시스템이다. NXT(넥스트
happy-jjang-a.tistory.com
'생활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분적립형 분양주택, 지분형 주택금융 알아보기 (0) | 2025.04.16 |
---|---|
배당수익률, 배당성향, 배당지속연한 이란? (0) | 2025.04.15 |
테리픽10(Terrific 10) 이란? (0) | 2025.04.14 |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개념 및 비교 (0) | 2025.04.14 |
사모펀드, 행동주의 펀드, 헤지펀드란? (0) | 2025.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