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36 배당수익률, 배당성향, 배당지속연한 이란? 배당주를 분석 또는 투자를 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지표로 배당수익률, 배당성향, 배당지속연한있다. 이 개념들을 하나씩 살펴본다. 1. 배당수익률 (Dividend Yield)배당수익률 = 1주당 배당금 ÷ 현재 주가 × 100주식에 투자했을 때 주가 대비 얼마나 현금 배당을 받는지를 나타낸다.은행에서 예금을 가입했을 때의 예금 금리처럼 이해하면 쉽다.예시)- 현재 주가: 20,000원- 1주당 연간 배당금: 1,000원- 배당 수익률: (1,000 / 20,000) * 100 = 5%=> 이 주식을 20,000원에 사면 매년 5%의 현금 수익이 발생한다.배당 수익률 수준 해석배당 수익률 수준해석1~2%낮은 수준 (성장주가 많음)3~5%일반적인 배당주6% 이상고배당주 (주의: 함정도 있을 수 있음 .. 2025. 4. 15. 대체거래소 NXT(넥스트레이드)란? 넥스트레이드(NEXTRADE)는 2025년 3월 4일 출범한 대한민국 최초의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로, 기존 한국거래소(KRX)의 독점 체제에서 벗어나 주식 거래 시장에 경쟁을 도입한 새로운 플랫폼이다. 넥스트레이드의 주요 특징1. 거래 시간 확대프리마켓: 오전 8시 ~ 8시 50분메인마켓: 오전 9시 ~ 오후 3시 20분 (KRX와 동일)애프터마켓: 오후 3시 40분 ~ 오후 8시하루 총 12시간의 주식 거래가 가능해져, 직장인 등 낮 시간에 거래가 어려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2. 낮은 거래 수수료지정가 주문(Maker): 0.0013% 시장가 주문(Taker): 0.0018% 한국거래소의 수수료(0.0023%)보다 20~40% 저렴한 수.. 2025. 4. 15. 테리픽10(Terrific 10) 이란? 요즘 중국이 다시 얘기가 많이 되면서 테리픽10(Terrific 10)이라는 용어가 많이 들린다. 테리픽10이 무엇인지 알아보자.테리픽10(Terrific 10)이란?테리픽10(Terrific 10)은 최근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의 10개 정보기술(IT) 기업을 가리키는 신조어입니다. 이는 미국의 ’매그니피센트7(Magnificent 7)’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중국의 주요 IT·테크 기업들을 지칭한다. 테리픽10(Terrific 10) 구성 기업테리픽10을 구성하는 10대 기업은 아래와 같다. 기업주요 산업특징 알리바바(Alibaba)전자상거래, 클라우드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텐센트(Tencent)게임, 메신저, 핀테크위챗, QQ 등 메신저 운영샤오미(Xiaomi)스마트폰, 가전, 전기차.. 2025. 4. 14.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개념 및 비교 유상증자 (Paid-in Capital Increase)유상증자는 회사가 주식을 새로 발행해서 투자자에게 돈을 받고 파는 것으로,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 투자자에게 돈 받고 발행하는 증자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유상증자 목적1. 운영 자금 확보: 현금흐름이 부족할 때 자금을 유입시켜 재무건전성 확보2. 부채 상환: 부채비율을 낮추고 신용등급 개선3. 설비 투자 및 R&D: 공장 증설, 연구개발, 신규 사업 진출 자금 등4. M&A 자금: 타 기업 인수를 위한 자금 마련 유상증자의 종류1. 주주배정 방식: 기존 주주에게 우선 청약 기회를 부여, 주로 기존 주주가 참여2. 제3자 배정방식: 특정 외부 투자자에게 신주 배정, 주로 전략적 투자자(SI), 재무적 투자자(FI)가 참여3. 일반공모 방식: 일반 대.. 2025. 4. 14. 사모펀드, 행동주의 펀드, 헤지펀드란? 사모펀드, 행동주의 펀드, 헤지펀드는 모두 기관투자자들이 운영하는 투자 펀드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목적과 전략은 각각 다르다. 순서대로 하나씩 알아가본다. 1. 사모펀드 (Private Equity Fund, PEF)- 사모펀드(PEF)는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비공개로 운영하는 펀드- 보통 기업을 인수하거나 지분을 사들여 가치를 높인 후, 되팔아(Exit) 차익을 남기는 전략을 사용한다사모펀드 특징✔ “Private Equity” → 비공개(Private)로 투자하는 펀드✔ 일반인이 아닌 소수의 고액 자산가 or 기관투자자로부터 자금 조달✔ 기업 인수(M&A) 후 가치를 높여 다시 매각(Exit)✔ 보통 3~7년 내 투자금 회수 목표✔ 주로 비상장 기업이나 상장사의 경영권에 투자 사모펀드 투자 .. 2025. 4. 7. 재무적 투자자(Financial Investor, FI) 란? FI(재무적 투자자) 란?재무적 투자자(Financial Investor, FI)란 "기업의 경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고, 투자를 통해 수익(재무적 이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 를 의미한다. 간단히 얘기하면 경영에는 관심이 없고, 수익(배당금,이자수익,주식 매각 등)에만 관심이 있는 투자자라고 할 수 있다.FI(재무적 투자자)는 단순히 돈만 투자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기업의 성장에 필요한 자금을 제공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거나 전문 경영진을 영입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특히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에게는, FI(재무적 투자자)의 투자가 도약의 발판이 될 수도 있다. 예시) - A라는 스타트업이 성장 중인데 자금이 부족한 상황이다.- 사모펀드(FI)가 100억 원을 투자하고 30% 지분을.. 2025. 4. 5. EBITDA(에비타) 란? EBITDA(에비타)란 기업이 본업(영업)으로 벌어들인 현금 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쉽게 말해, 이 회사가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를 빼기 전에 실제로 벌어들인 돈이 얼마냐?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아래 내용들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EBITDA 공식* EBITDA는 영업이익에서 감가상각비를 더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EBITDA = 영업이익(EBIT) + 감가상각비(D&A)- EBIT (영업이익) = 매출 - 영업비용- D&A (감가상각비, Depreciation & Amortization) = 건물·기계 등 자산의 가치가 줄어드는 비용 EBITDA를 사용하는 이유기업이 실제로 돈을 얼마나 잘 버는지를 평가할 때 회계적 비용(감가상각비, 이자 등)을 제외하고 순수한 영업활동만으로.. 2025. 4. 3. 배당락일에 주가가 배당금만큼 줄어드는 이유 일반적으로 잘 느끼지는 못하지만 배당락일(Ex-dividend date)이 되면 주가가 배당금만큼 줄어든다. 이는 해당 주식을 새로 사는 사람은 배당금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주가가 배당금만큼 하락하는 것이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배당의 원리와 시장에서 주가가 조정되는 방식을 알아보자. 배당이란? • 기업이 이익을 주주들에게 현금(현금배당) 또는 주식(주식배당)으로 지급하는 것 •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 기준일(Record date)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함 배당 관련한 일자 • 배당락일(Ex-dividend date): 이 날부터 주식을 사는 사람은 배당을 받을 수 없음 • 배당 기준일(Record date): 주주 명부에 기록되는 날 (보통 배당락일의 하루 뒤) • 배당 지급일(Payment d.. 2025. 4. 2. 이전 1 2 3 4 ··· 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