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

재무적 투자자(Financial Investor, FI) 란?

by 궁즉변 변즉통 통즉구 2025. 4. 5.
반응형

FI(재무적 투자자) 란?

재무적 투자자(Financial Investor, FI)란 "기업의 경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고, 투자를 통해 수익(재무적 이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 를 의미한다. 간단히 얘기하면 경영에는 관심이 없고, 수익(배당금,이자수익,주식 매각 등)에만 관심이 있는 투자자라고 할 수 있다.

FI(재무적 투자자)는 단순히 돈만 투자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기업의 성장에 필요한 자금을 제공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거나 전문 경영진을 영입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특히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에게는, FI(재무적 투자자)의 투자가 도약의 발판이 될 수도 있다.

 

예시) 

- A라는 스타트업이 성장 중인데 자금이 부족한 상황이다.
- 사모펀드(FI)가 100억 원을 투자하고 30% 지분을 가져간다.
- 5년 뒤 A 스타트업이 상장해서 기업가치가 1,000억 원이 되면,
   FI는 보유 지분(30%)을 팔아 300억 원을 받고 200억 수익을 남기는 구조이다.

 

 

FI(재무적 투자자) 특징

1. 경영권에 관심 없음

     - 기업 운영보다는 투자 수익에 집중
     -
경영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 개입

2. 투자 목적: 주가 상승, 배당, 이자 수익

     - 기업이 성장하면 주식을 되팔아 차익 실현 (Exit)
     - 기
업이 배당을 주면 배당금 수익 확보

3. 일정 기간 후 투자 회수(Exit 전략)

     - 일반적으로 3~7년 이내에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이 목표

 

FI(재무적 투자자) 수익 구조

FI(재무적 투자자)의 핵심은 바로 수익 실현(Exit)이다. 수익을 실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IPO(상장)

     - 투자한 기업이 상장되면, 보유 지분을 고가에 매각할 수 있다.

2. M&A(기업 매각)
    - 더 큰 기업이나 SI에게 기업을 팔아서 수익을 실현한다.

3. 지분 매각

    - 일정 기간 후 보유한 지분을 다른 투자자에게 넘기며 차익을 얻는다.

 

FI(재무적 투자자) 유형

유형 설명
사모펀드 기업을 사서 키운 뒤 기업의 가치를 높여 일정 기간 후 주식을 되팔아 수익 실현
벤처캐피털 기업이 성장한 후 IPO(상장)하면 주식을 팔아 차익 실현 (Exit)
헤지펀드 다양한 금융 기법을 활용해 수익을 추구하는 전문 투자자
기관 투자자 보험사, 연기금, 자산운용사 등 대규모 자금을 운용하는 기관

 

FI(재무적 투자자) vs SI(전략적 투자자) 차이

구분 FI(재무적 투자자) SI(전략적 투자자)
목적 투자 수익(배당, 주식 매각 차이) 기업 경영권 확보 및 시너지 효과
경영 참여 거의 없음 or 제한적 참여 적극적 참여
투자 기간 보통 3~7년 내 회수 장기 보유 가능
대표 투자자 사모펀드(PEF), 벤처캐피털(VC), 기관 투자자 삼성, 현대 같은 대기업, IT 기업 등
Exit 전략 주식 매각, IPO, M&A 장기적인 사업 운영

 

FI(재무적 투자자)는 단순한 ‘돈만 주는 투자자’가 아니라, 기업의 성장과 변화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용한 조력자" 라고도 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빠르게 성장하고 싶을 때투자자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때 FI(재무적 투자자)는 중요한 파트너가 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