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

배당락일에 주가가 배당금만큼 줄어드는 이유

by 궁즉변 변즉통 통즉구 2025. 4. 2.
반응형

일반적으로 잘 느끼지는 못하지만 배당락일(Ex-dividend date)이 되면 주가가 배당금만큼 줄어든다. 이는 해당 주식을 새로 사는 사람은 배당금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주가가 배당금만큼 하락하는 것이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배당의 원리와 시장에서 주가가 조정되는 방식을 알아보자.

 

배당이란?

기업이 이익을 주주들에게 현금(현금배당) 또는 주식(주식배당)으로 지급하는 것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 기준일(Record date)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함

 

배당 관련한 일자

배당락일(Ex-dividend date): 이 날부터 주식을 사는 사람은 배당을 받을 수 없음

배당 기준일(Record date): 주주 명부에 기록되는 날 (보통 배당락일의 하루 뒤)

배당 지급일(Payment date): 실제 배당금이 지급되는 날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락일 전에 주식을 사서 보유하고 있어야한다.

 

배당락일에 주가가 떨어지는 이유

배당락일이 되면, 이제 새로 주식을 사는 사람은 배당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주가에서 배당금만큼 빠지는 것이다. 즉, 배당만큼 주가에서 가치를 차감하는 과정으로 이해하면 된다.

 

예시)

배당 전날(권리부일) 주가: 100,000원

배당금: 5,000원

배당락일이 되면, 주가에서 배당금만큼(-5,000원) 조정

배당락일 시작 주가: 95,000원 (100,000원 - 5,000원)

 

배당락일 주가 조정이 자동으로 일어나는 이유

주가는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되지만, 배당락일에는 거래소에서 배당금만큼 주가를 조정하는 시스템이 적용된다. 즉, 배당락일의 시작가(시초가)는 자동으로 배당금을 반영한 가격으로 조정되는 것이다.

한국 주식: 한국거래소(KRX)에서 조정

미국 주식: 뉴욕증권거래소(NYSE) 등에서 조정

하지만, 시장의 매수·매도 심리에 따라 실제 거래 가격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당 이후에도 기업 실적이 좋다면 배당락 이후 주가가 빠르게 회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배당락 이후 일반적인 주가 움직임 시나리오

1. 배당락일에 배당금만큼 주가 하락 (기본적인 조정)

2. 배당락 이후 투자자들이 다시 매수하면 주가 회복 가능

3. 배당 수익률이 높으면 단기 투자자(배당만 받고 파는 투자자) 이탈로 추가 하락 가능

4. 기업 실적과 시장 상황에 따라 주가가 다시 오를 수도, 더 떨어질 수도 있음

* 배당락일 주가 하락은 단기적인 현상이고, 이후 주가는 기업의 가치와 시장 환경에 따라 많이 달라지게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