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첨단제조세액공제(AMPC: 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는 미국이 반도체·배터리·태양광 등 핵심 첨단 제조업을 자국 내에 유치하기 위해 만든 강력한 세제 혜택 정책이다. 특히 한국 기업(삼성, SK, LG 등)에게도 매우 중요한 제도라도 볼 수 있는데, 미국 내에서 첨단 제조품을 생산할 경우, 생산한 ‘물량 자체’에 대해 세액을 환급해주는 인센티브 제도라고 보면 된다.
도입 배경
1. 중국과 기술 패권 경쟁: 반도체, 배터리, 태양광 등 미래산업이 국가 안보와 직결됨
2. 공급망 리쇼어링 전략: 미국은 자국 내 제조기반이 약해져서 공장·투자 유치 필요
3. 친환경 에너지 확대: 배터리·태양광 등 청정에너지 생산을 보조금으로 장려
주요 적용 대상 제품
1. 반도체: 고급·범용 반도체 웨이퍼, 집적회로 등
2. 배터리: 전기차용 셀, 모듈, 팩, 핵심광물 (리튬, 니켈 등)
3. 태양광: 태양전지, 모듈, 잉곳 등
=> 이 제품들을 미국 내에서 실제로 생산하면, 생산량 기준으로 세액공제를 해준다.
공제 방식(어떻게 공제해주나?)
구분 | 일반 세액공제 | AMPC |
기준 | 투자금액(건설, 장비 등)에 대해 일정 비율 공제 | 생산물량 기준으로 단가당 보조금 지급 |
공제 방식 | 투자에 대해 일회성 공제 | 해마다 생산할 때마다 반복 공제 |
예시)
- 전기차 배터리 셀 1kWh당 35달러 세액공제
-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에서 100GWh 배터리를 생산하면?
=> 100,000,000kWh × $35 = 35억 달러(약 4.6조 원) 상당 공제 혜택
주요 혜택 대상 기업
기업 | 설명 |
삼성전자 | 미국 텍사스 테일러에 반도체 공장 건설 중 → AMPC 대상 유력 |
SK온 | 포드와 배터리 합작 공장 건설 중 → 셀 단가 기준 세액공제 혜택 |
LG에너지솔루션 | GM·혼다 등과 합작공장 4~5개 → 연간 수조 원 보조금 추정 |
TSMC/인텔/미국 배터리 기업 | 미국 내 생산량 확대를 통해 대부분 대상 |
한국 기업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항목 | 긍정적 영향 |
세액 환급 효과 | 미국 공장 건설 시 실질 원가 절감 효과 (수익성 개선) |
미국 정부와 우호적 관계 형성 | 자국 생산 확대 시 정부 지원 유리 |
IRA 친환경 보조금 연계 | 미국 내 생산 배터리 → 전기차 보조금 지급 조건 충족 |
한계 및 조건
조건 및 리스크 | 설명 |
생산 기반이 미국 내일 것 | 공장만 지어놓고 외국에서 조달하면 미적용 |
중국산 원재료 배제 요건 | IRA와 연동되어 중국 기업과 연결되면 보조금 제외 |
미국 조세당국 보고 요건 까다로움 | 세부 기준 충족 및 인증 시스템 필요 |
반응형
'생활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시장이란? (0) | 2025.04.28 |
---|---|
R의공포란? (0) | 2025.04.24 |
상법개정안이란? (0) | 2025.04.23 |
HBM(고대역폭 메모리)는 무엇일까? (0) | 2025.04.22 |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워크아웃, 자율적 구조조정 계획(ARS) 알아보기 (0) | 2025.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