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

미국 물가 지수 - CPI, PCE, PPI 알아보기

by 궁즉변 변즉통 통즉구 2024. 5. 6.
반응형

미국 연준이 주목하고 있는 대표적인 물가 지수 3가지인 CPI, PCE, PPI에 대해서 알아본다

 

CPI(Consumer Price Index)

- "소비자 물가지수"로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 소비자들이 실제 체감하는 물가 수준을 잘 나타내는 지표 임

- "소비자에 의해(by consumers)" 직접적으로 지출되는 상품의 물가지수

- 발표일: 매월 10~13일

- CPI 구성 항목 및 가중치는 아래와 같다. 특징으로는 PCE보다 주거비 비중이 높다는 것이다. 

출처: https://www.brookings.edu/articles/how-does-the-government-measure-inflation/

- CPI 지출 품목은 2년 마다 업데이트된다. 그래서 외부 충격 등으로 특정 상품 가격이 급등 했을 경우 다른 상품을 구매하는 ‘대체효과’를 제때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 Core CPI는 CPI에서 변동폭이 큰 에너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CPI 수치를 별도로 측정하는 것이다. 

 

 

PCE(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로 한 나라의 모든 개인이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지출하는 비용과 가계를 위해 정부와 비영리 기관들이 쓴 돈의 합계이다.

- "소비자에 의해(by consumers)", 그리고 "소비자를 위해(on behalf of consumers)" 지출되는 상품의 물가지수

- 발표일: 매월 마지막 금요일. CPI보다 발표일이 늦어서 CPI보다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다 

- 연준은 CPI보다 PCE를 통화정책 결정의 타킷으로 보고 있음

- PCE 구성 항목 및 가중치는 아래와 같다. CPI보다 서비스업의 비중이 더 크고, 대상 범위도 넓다.

출처: https://www.brookings.edu/articles/how-does-the-government-measure-inflation/

- PCE 지출 품목은 분기마다 업데이트 된다. 

- Core PCE는 변동폭이 큰 에너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PCE 수치를 별도로 측정하는 것이다. 

 

 

CPI, PCE 비교

- 기본적으로 CPI와 PCE는 비슷한 패턴을 보인다.

출처: https://www.brookings.edu/articles/how-does-the-government-measure-inflation/

- 구성항목 및 가중치 비교

항목 CPI PCE
식료품 14.8% 13.9%
주거비 42.1% 22.6%
교통비 15.7% 9.8%
의료비 8.8% 22.3%
여가/문화 5.8% 8.2%
기타 12.7% 23.1%

 

 

 

PPI(Producer Price Index)

- "생산자 물가지수"로 국내 생산자가 국내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 지수이다.

- 주로 기업의 비용 증가, 생산원가와 관련이 있다.

- 몇 개월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CPI)에 영향을 줌으로써 소비자물가 지수(CPI)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 발표일: 매월 11~16일

- PPI의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출처: https://economymbn.com/%EA%B8%88%EC%9C%B5-%EC%A0%95%EB%B3%B4/%EC%83%9D%EC%82%B0%EC%9E%90-%EB%AC%BC%EA%B0%80%EC%A7%80%EC%88%98ppi%EC%9D%98-%EC%A4%91%EC%9A%94%EC%84%B1-%EB%B0%8F-%EC%A3%BC%EC%9A%94-%EA%B5%AC%EC%84%B1%EC%9A%94%EC%86%8C-6%EA%B0%80%EC%A7%8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