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기타

[독서]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 강용수

by 궁즉변 변즉통 통즉구 2024. 4. 10.
반응형

 

 

모든 인생은 고통이다

 

산다는 것은 괴로운 것이다. 모든 인생은 고통이다. 고통은 살아남고자 하는 인간 본성의 욕망(삶의 의지)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인간의 욕망은 신체를 통해 ‘삶에 대한 의지’로 나타난다. 힘든 시간을 견디게 하는 힘도 삶에 대한 애착과 열망 때문이기도 하다.

 

고통

- 가짜 행복을 쫓는 고통: 출세, 부, 명예, 무게 중심이 자기밖에 있다

- 진짜 행복을 쫓는 고통: 깊은 통찰과 스스로를 깨고 무너뜨리고 새롭게 거듭나는 것, 무게 중심이 자기안에 있다

행복한 인생은 고통을 잘 견뎌 내는 인내력이다.
행복한 사람은 덜 불행하게 살 수 있는 용기가 있고, 고통을 그러저럭 견뎌 내면서 하루하루를 묵묵히 살아가는 사람이다. 

 

불행한 이유

1. 고통(궁핍과 결핍)

      - 너무 많은 것을 갖기 위해서 열망(욕망)하면 궁핍과 결핍이 커져서 불행 할 수 있다.

      - 끊임없는 공부, 사색, 통찰로 욕망을 잘 다스려야 한다.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다

2. 무료함(과잉과 충족)

     - 결핍을 제거하고 긴장에서 벗어나는 것이 오래가지 않는다. 너무 큰 행복을 바라지 마라

     - 풍부한 내면과 상상력을 가진 사람은 무료함과 따분함을 느끼지 않는다

인생이란 고통과 무료함 사이를 오가는 것이다.

행복한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손 벌리지 않을 정도의 재산이 있고, 여가 시간을 누릴 수 있는 뛰어난 정신력을 지닌자다.

“성공하고 싶다면 원하는 바를 가져라. 행복하고 싶다면 가진 것을 즐겨라”

 

진짜 행복을 찾기 위해서

1. 건강이 가장 중요하다. 행복은 명량한 기분에 좌우되는데, 그 기분은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운동하라.

 

2. 웃음을 잃지 않도록 노력하라. 연구 결과 하루에 웃는 시간 90초, 걱정과 근심 시간 하루에 3시간이다.
    40대부터는 자신의 얼굴에 책임을 져야한다. 항상 긍정적인 기분으로 살면서 늘 웃는 얼굴을 가져야 할 것이다.

 

3. 교육과 성찰을 통해 고통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꾸고, 잘 견디기 위한 나의 그릇을 키울 것
   (낙관적인 사람은 고난에서 기회를 보고, 비관적인 사람은 기회에서 고난을 본다)

 

4. 나를 찾기. 내가 잘할 수 있고(능력), 내가 하고 싶고(욕망), 나에게 맞는 것(소질) 찾기.
    처음부터 자신에 대해서 완전히 아는 것은 불가능하고 많은 시행착오와 경험, 성찰이 필요하다.

 

5. 과거의 행복에 매달리지 말고, 미래에 행복을 미루지 마라. 단 한번 뿐인 오늘을 살아라.

 

6. 고통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인정하고, 잘 견뎌 낼 수 있는 힘을 키우자

 

7. 인생을 단편적으로 보지 않도록 균형을 가져야 한다.
   우리는 인생이라는 무대에서 비극적인 인물의 역할을 맡지만, 자세히 보면 하루하루 끊임없이 걱정거리로 살아가며 불안해하는 유치한 희극 배우라는 것이다.

 

8. 사랑과 연애, 결혼에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잠시라도 행복했다면 충분하다.

 

9. 홀로 있는 능력이 생겼을 때 가치있게 살 수 있다.
    인간은 혼자 있을 때만 온전히 그 자신일 수 있다. 그러므로 고독을 사랑하지 않는 자는 자유도 사랑하지 않는 자라고 할 수 있다.

 

10. 원하는 바를 알면 원하는 대로 살 수 있다. 원하는 바가 없는 인생은 타인에게 휘둘린다.

 

11. 자긍심을 가져라.
     자긍심은 자신의 마음에서 자신에 대해 내리는 직접적인 높은 평가다. 자긍심을 갖기 위해서는 타인의 호감을 얻으려는 허영심을 없애야 된다.

 

12. 독서, 사색, 명상, 음악, 자연, 예술작품 등을 가까이 하라

 

내면이 인격을 좌우하고,
인격이 인생을 좌우한다.
내면을 무엇으로 채울 것인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