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29

배당락일에 주가가 배당금만큼 줄어드는 이유 일반적으로 잘 느끼지는 못하지만 배당락일(Ex-dividend date)이 되면 주가가 배당금만큼 줄어든다. 이는 해당 주식을 새로 사는 사람은 배당금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주가가 배당금만큼 하락하는 것이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배당의 원리와 시장에서 주가가 조정되는 방식을 알아보자. 배당이란? • 기업이 이익을 주주들에게 현금(현금배당) 또는 주식(주식배당)으로 지급하는 것 •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 기준일(Record date)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함 배당 관련한 일자 • 배당락일(Ex-dividend date): 이 날부터 주식을 사는 사람은 배당을 받을 수 없음 • 배당 기준일(Record date): 주주 명부에 기록되는 날 (보통 배당락일의 하루 뒤) • 배당 지급일(Payment d.. 2025. 4. 2.
미국 주식 배당 황제주, 배당 귀족주, 배당 챔피언이란? 미국 주식에서 배당 황제주(Dividend Kings), 배당 귀족주(Dividend Aristocrats), 배당 챔피언(Dividend Champions)은 모두 오랫동안 배당을 꾸준히 늘려온 기업들을 의미하지만 각각의 의미들은 조금씩 차이가 있다.  1. 배당 황제주 (Dividend Kings)50년 이상 연속으로 배당금을 증가시킨 기업으로 배당을 한 번도 줄인 적 없이 50년 이상 계속 늘려온 초우량 배당주를 의미한다. 특징 • 역사적으로 안정적인 기업 (경기 불황에도 배당 유지) • 장기 투자에 적합한 기업들(약 30여개 기업) • 주로 소비재, 헬스케어, 산업재, 금융 기업이 많음 대표적인 배당 황제주 • 코카콜라(KO) – 60년 이상 배당 증가 • P&G(PG) – 65년 이상 배당 증가.. 2025. 4. 1.
서울 3대 업무 지구 CBD, GBD, YBD 란? 서울에서 3대 업무 지역을 나타내는 CBD, GBD, YBD의 용어와 개념에 대해서 알아본다. 3개 용어 모두 서울 내에서 특정한 기능을 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1. CBD (Central Business District, 중심 업무 지구)서울의 핵심 상업 및 비즈니스 중심지를 의미하고, 대기업 본사, 금융기관, 고층 빌딩 등이 밀집해 있으며, 경제 활동이 가장 활발한 곳이라고 볼 수 있다. 특징 • 대기업 본사, 금융기관, 증권사, 대형 쇼핑몰, 고급 호텔 등이 위치 • 고층 빌딩이 많고, 임대료가 비쌈 • 교통이 편리하고 유동 인구가 많음 예시종로, 광화문, 을지로  2. GBD (Gangnam Business District, 강남 업무 지구)서울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업무 지구를 뜻하는 말로.. 2025. 3. 31.
주주총수익률(총주주수익률, TSR)이란? 주주총수익률(Total Shareholder Return, TSR)이란 주식 투자자가 주식을 투자해서 실제로 얻은 총 수익률을 의미한다. '이 주식에 투자해서 주가 상승 + 배당금을 다 합쳤을 때 얼마나 벌었냐?' 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어서 단순 주가 상승률보다 더 정확한 투자 성과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주주총수익률(TSR)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주식 투자에서 실제 수익을 보여줌        • 단순히 주가 상승률만 보는 게 아니라 배당까지 포함한 총 이익을 평가할 수 있다. 2. 기업이 주주를 얼마나 잘 챙기는지 알 수 있음        • TSR이 높으면 주가도 잘 오르고 배당도 잘 주는 기업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3. 기업 경영 평가 지표로 활용       • 경영진이 .. 2025. 3. 24.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할 때 중요한 지표이고, 둘 다 기업이 돈을 얼마나 벌었는지를 나타내지만, 계산 방식과 의미하는 바는 조금씩 다르다. 영업이익기업이 본업(사업)을 통해서 벌어들인 이익으로 기업이 핵심 사업으로 돈을 잘 버는지 보여주는 지표이다. 영업이익이 크면 본업이 탄탄한 거고, 작거나 적자이면 사업 운영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간단히 말해 '우리 사업이 돈이 되느냐?' 하는 지표이다.  영업이익 계산법: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관리비• 매출액: 물건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해서 번 돈• 매출원가: 제품을 만들거나 서비스 제공에 직접 들어간 비용• 판매관리비(판관비): 광고비, 임대료, 직원 월급 등 운영 비용 예시:예를 들어 카페를 운영한다고 해보자. •.. 2025. 3. 24.
[독서] 24년 읽은 책 정리 독서 습관을 형성하는 과정 중 하나로 24년 읽은 책들을 정리해봤다. 1년에 50권 독서가 정말 쉽지 않다라는 것을 많이 느끼고, 하반기로 갈수록 의지가 약해져서 책을 읽은 시간이 많이 줄어든 것 같다. 그리고 이전까지는 책을 한번 읽으면 재독은 안했었는데, 24년에는 심적으로 힘들 때 이전에 읽었던 책들을 재독을 좀 많이 했다. 읽은 책들 중에 내용이 기억나는 것도 있고, 기억이 전혀 나지 않는 것도 있지만 25년에도 꾸준히 읽어 독서량을 늘려가야 한다.번호책 제목저자완독 일자분류1티스토리 사용설명서유길용2024.01.18신규2핑크팬더의 블로그 글쓰기핑크팬더2024.01.21신규3나는 어떻게 삶의 해답을 찾는가고명환2024.01.17신규4원씽게리 켈러,제이 파파산2024.01.31재독5데일 카네기 인간.. 2025. 1. 5.
PostgreSql docker 실행 시 Data directory "/var/lib/postgresql/data" has invalid permissions 조치 docker compose로 postgresql를 띄워서 테스트 해볼 일이 생겨서 간단히 실행을 해봤는데 아래와 같은 디렉토리 permission 에러가 발생했다.Data directory "/var/lib/postgresql/data" has invalid permissions docker compose 파일은 아래와 같이 작성이 된 상태였다.version: '3'services: postgres: image: postgres volumes: - ./postgres_data:/var/lib/postgresql/data environment: POSTGRES_DB: postgre POSTGRES_USER: postgre POSTGRES_PASSWORD.. 2024. 11. 17.
[독서] 불변의 법칙 - 모건 하우절 “어느 시대건 현자들은 항상 같은 말을 하고, 어리석은 대다수 사람은 하나같이 그 반대로 행동한다.” - 쇼펜하우어“역사가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행동이 반복되는 것이다” - 볼페트 늘 변화하는 세상에서 절대 변하지 않는 것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다른 말로 하면 인간의 행동양식에 따른 세상의 섭리를 이야기한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세상은 인간의 행동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이런 인간의 행동에는 변하지 않고 반복되는 부분들이 있어서 세상에는 변하지 불변의 법칙이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런 변하지 않는 것들에 집중하면, 불확실한 앞날을 예측하려는 시도는 멈추고, 대신 세월이 흘러도 유의미한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쏟을 것이다. “앞으로 10년 동안 무엇이 변할 것 같나요?” 당신의 질.. 2024. 11. 11.
[독서] 세이노의 가르침 - 세이노 책의 내용이 방대하고 주제들도 다양해서 작년, 올해 이렇게 2번 읽었다. 이 책을 읽고 느낀점을 간단히나마 정리하고 나중에 또 다시 한번 보면 지금 느끼는 부분과 나중에 느끼는 부분이 비교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의 내용을 지금 내 상황에서 이해했을 때는 노력과 공부라는 키워드로 정리가 될 수 있을 것같다. 다양한 상황들과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가 되고 있지만 결국 마지막에는 노력이라고 생각한다. 단, 여러가지 노력들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냉정한 현실에 대한 직시가 필요할 것이다. 현실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력을 해야 한다.대부분의 스트레스는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르는 무지에서 오고, 그 무지의 뿌리는 게으름이라고 할 수 있다.어떤 일을 하던지 그.. 2024. 11. 10.
IntelliJ Python 개발환경 구성(프로젝트 생성, 가상환경, Hello World) 예전 Python 개발을 할 때 PyCharm을 활용했었는데, IntelliJ에서도 쉽게 개발환경 구성이 가능하고 IDE를 통일시킨다는 측면에서 IntelliJ에서 Python 개발환경 구성 방법을 알아본다 프로젝트 생성먼저 Python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본다. IntelliJ에서 Python파일을 열어본적이 있으면 추천에 의해서 아마 설치가 되어있을 수 있는데, 설치가 되지 않았으면 설치해준다 이제 Python Hello World를 위한 프로젝트를 생성해보자.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New > Project..."를 선택한다.  신규 프로젝트 세팅을 위한 다이얼로그가 열리고, 좌측에서 Python을 선택한다. 그리고 우측에서 Environment 관련 설정에서 신규 환경구성을 위.. 2024. 11. 10.
반응형